삼당 합당

현재 한국 정치에 결정적인 사건이 한 두가지가 아니지만 난 그중에 하나를 꼽으라면 삼당합당이다.

군사정권(전두환 정권)에서 민주정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벌어진 일.

군사정권(5공화국)이 지금의 6공화국으로 바뀌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수다.

노태우, 김영삼이 대권을 잡게 된 가장 큰 계기. 김대중이 IMF를 벗어나는 좋은 시기에 대통령을 할 수 있었던 계기이기도 하고.

그나마 평화적(?)으로 군사정권에서 6공화국으로 건너가는 징검다리라고 평하는 사람도 있다.

삼당합당을 계기로 지역구도가 호남 vs 비호남 으로 바뀌며 호남에 불리하게 작용하게 되었다는 평도 있다.

그 시작은 노태우 당선

김대중, 김영삼의 분열로 표가 분산되고 대선 직전 KAL기 폭파사건으로 인한 북풍이 불면서 군부정권의 후신인 노태우가 득표울 36.6%로 김영삼(28.03%), 김대중(27.04%)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13대 총선 – 여소야대 국회 시작

노태우가 속한 민주정의당은 15대 총선에서 자리를 125석 얻고 평화민주당 70석, 통일민주당 59석을 얻으면서 여소야대 국회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 정당은 지역별 경쟁구도로 이루어져 있었고 이 구도를 좋아하는 정치인은 아무도 없었다.

어떻게든 다음 대선 전에는 다들 개편을 바라는 분위기였고 이 개편이 어떻게 될지에 국민들의 관심이 많이 쏠렸다.

노태우와 김영삼 지지자 성향의 유사성

노태우도 보수주의자고 김영삼도 보수주의자였다. 엄밀히 얘기하자면 김영삼은 자유보수주의자, 노태우는 국민보수주의자(반 이민 보수주의)였다.

당시 중도보수주의가 두터운 편이었으나 김영삼, 김대중은 ‘군정종식’에만 집중하고 있던 실정이었다

김영삼은 김대중과 ‘군정종식’이라는 목표는 같았지만 그 두 지지자들의 성향은 달랐다. 김영삼 지지층은 보수주의가 강했다.

지지층만으로 봤을 때는 김영삼의 지지세력들은 노태우의 지지세력들과 동질성이 높았다.

초기에는 김대중의 평화민주당과 합당을 논의했다.

노태우의 민주정의당이 김대중의 평화민주당과 합당하면 지역 대 통합이라는 명분이 좋은 통합이 가능했다. 하지만 김대중에게는 5공의 후신과 손을 잡는다는 게 큰 부담이 되어 결국 결렬되었다.

김영삼의 구상

초기에는 김종필과의 연대를 구상했으나 김대중의 평화민주당이 부각되면서 노태우 정권과의 대립을 강조하던 김영삼의 이미지가 점점 옅어져갔다.

합당 제의 처음부터 합당을 하려 했으나 노태우의 민정당과 합당할 명분이 부족해 시간을 끌다가 수락하며 성향(보수주의)이 비슷한 김종필과 합쳐 3당 합당을 발표했다.

합당과정의 이탈자.

여기서 노무현이 등장한다.

노태우의 민주정의당과 김종필의 신민주공화당과의 합당을 끝까지 거부하고 끝내 이탈한 사람들이 있었다. 김광일, 김상현, 김정길, 노무현, 장석화 의원이다.

노무현은 이를 계기로 정계에 입문하게 해준 김영삼을 떠나 김대중에게로 가게 된다.

평가

긍정적 평가

‘민주화에 기여했다’라는 평가이다.

김영삼이 집권 초기 하나회 숙청, 5공화국 청산, 쿠데타 명기 등 군부독재의 잔재 씻기에 기여를 많이 했기에 낼 수 있는 긍정적 평가이다.

3당 합당을 하지 않았다면 김대중이 당선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김대중이 이를 실행했으면 하나회의 역공을 당했을 가능성이 높다. 김영삼도 합당한 민주자유당이 아닌 민정당과 정면대결을 했다면 하나회의 역공을 당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역공’은 쿠데타를 포함하는 의미의 ‘역공’이다.

삼당 합당이 군부정권 청산의 완충장치를 하면서 합당한 당을 민주정의당계가 아닌 민주계가 이끌어 가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하는 평.

부정적 평가

비 호남 vs 호남 지역구도가 되었다.

앞서 기술했듯 야당들이 모두 지역기반으로 대립하는 정당이었기에 합당하지 못한 하나의 당을 지지하는 지역이 소외될 수밖에 없었다.

그것이 김대중의 호남이었고 한동안 호남 vs 비호남 구도가 이어졌고 지금까지도 그 잔재가 남아있다.

민주세력의 분열

김영삼과 김대중은 민주세력의 큰 두 거목이다. 이 둘이 이를 계기로 분열되었고 대통령을 하고 싶은 욕심에 눈이 먼 듯한 태도를 보여주어 민주세력에 오점을 남겼다.

함께 읽어볼 만한 글

Leave a Comment